직무소개
- 배터리 셀/소재 및 전자재료 개발
자동차/소형/ESS용 배터리 제품을 개발하고 배터리 핵심 소재 및 차세대 혁신 소재를 개발하는 직무 반도체 공정소재, 디스플레이 필름/발광소재를 개발하는 직무

- 차세대배터리 개발
- 배터리 소재개발
- 배터리 기종개발
- 배터리 구조 및 부품개발
- 배터리 분석
- 배터리 시뮬레이션
- 반도체 소재개발
- 디스플레이 소재개발
- 전자재료 분석
- 전자재료 시뮬레이션
-
- 차세대배터리 개발 Roles
-
- 전고체배터리, 리튬메탈배터리, 리튬황배터리 등 Post 리튬이온배터리 개발
- 차세대배터리 구현을 위한 관련 소재 및 공정 개발
-
- 배터리 소재개발 Roles
-
- High-Ni, Co-free 등 차세대 양극소재 개발
- 급속충전 음극소재, 고용량 Si계 소재 설계/합성
- 전해질 설계 및 첨가제 개발
- 안전성/신뢰성 향상 분리막 코팅 기술 개발
- 배터리 소재 회수 기술 연구
-
- 배터리 기종개발 Roles
-
- 고용량, 고효율 등 제품별 성능 구현을 위한 극판 조성 및 구조 설계
- 안전성, 급속충전 등 배터리 성능 향상을 위한 신규 극판 소재(바인더, 도전재 등) 및 구조 개발
- 배터리 제품별 특성에 따른 요구 성능 도출 및 구현
- 급속 충전 패턴 개발
- 고객 제안 시험 평가법 분석 및 성능 검증용 평가법 개발
- 충방전기 효율화(가동률 극대화) 개발
- 셀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수명 예측 기술 개발
- 배터리 시험 검증을 위한 전기적 검사 모델링/검사법 개발
- 개발 안전성/신뢰성 매커니즘 해석 및 예측 시뮬레이션
-
- 배터리 구조 및 부품개발 Roles
-
- 배터리 新구조 설계 및 요소기술 개발
- 배터리 구조/ 부품 설계, 시뮬레이션 및 개발
-
- 배터리 분석 Roles
-
- 표면/형상/유기/무기/결정/전기화학 분석을 활용한 배터리 소재(양극, 음극, 전해질, 분리막) 개발 지원과 소형/중대형배터리 셀, 제품 분석 및 품질 이슈 규명
- 배터리 특화 분석 기술 개발
-
- 배터리 시뮬레이션 Roles
-
- 무기/유기/고분자/복합 소재 Simulation(제일원리, 분자동역학)
- 전기화학 성능 및 열화 모델 개발을 통한 소재/극판/셀 개발 효율화
- 분체해석/기구해석/열유동해석을 통한 배터리 안전성 예측 및 공정 Simulation 개발
- 배터리 다중 물리 모델(전기화학-전기-열) 개발
-
- 반도체 소재개발 Roles
-
-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및 초소형화를 위해 고난도 공정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고성능 공정 소재 개발(PR, SOH, CMP Slurry, EMC 등)
- 단분자, 고분자, 나노 입자를 신규 합성하거나 작용기 치환, 표면 개질 등을 진행하여 화합물을 설계
- 수율 개선을 위한 유/무기 불순물 검출 방법 및 합성법과 정제법 최적화
- 안정성 확보를 위한 분산성 제어 기술, 이온 조절 기술을 개발하고 소재 불순물에 대한 정량/정성 분석을 통해 순도를 분석 및 개선
- 샘플의 내열성, 점도 등의 소재 물성과 공정에 필요한 코팅성, 평탄성, 경화성 등의 기초 물성 평가
- 공정 평가 결과와 정합성이 확인된 공정 모사-평가법 개발
- Patterning, CMP, Packaging 등 공정에서 모사-평가를 수행하여 패턴성, 연마성, 봉지성, 신뢰성, Defect 발생 유무 등의 공정 성능 확인
-
- 디스플레이 소재개발 Roles
-
- 대면적, 폴더블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한 광학소재(편광필름, 점접착제) 개발
- 주어진 조건에 적합한 편광필름의 특성(광학, 점착 등)을 충족시키는 필름 재료 개발 및 검증
- 필름, 점 접착 재료의 물리/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필름의 광학 특성 예측을 통한 편광/코팅 필름 구조 설계
- 코팅액에 적합한 코팅 방법을 선정하고 코팅, 건조/경화, 보호필름 합지, 슬리팅 등의 단위 공정 설계 및 최적화
- 코팅액 및 코팅 공정을 바탕으로 필름의 물리/화학적 특성을 예측하고 고객 공정 모사 평가 수행
- 대면적, 고해상도 등 차세대 OLED, QD 디스플레이용 발광소재 개발
- 신규 설계 재료의 기초 물성을 분석하고 OLED용 단분자 및 QD 무기 나노 입자 화합물 설계
- 수율 개선을 위한 유/무기 불순물 검출 방법 도출 및 합성법과 정제법 최적화
- 재료 특성 분석을 위해 재료별 내화학성, 패턴성 등의 기초 물성 분석 진행
- 양산 신뢰성 확보를 위한 모사 평가 수행
-
- 전자재료 분석 Roles
-
- 소재 개발 시 요구되는 분석 Data를 제공/분석하여 제품 불량 발생 시 원인 규명 및 개선 대책 수립
- 품질 관리를 위한 평가법을 개발 및 수평 전개하여 신규 소재개발 및 제품/공정 불량 해결에 기여
- 개발/품질관리 시 요구되는 분석법을 개발하고 표준화
-
- 전자재료 시뮬레이션 Roles
-
- 필름의 광학적 성질 규명을 통해 우수 조합에 대한 제시 및 전자재료/화학 소재의 물리화학적 물성 예측
- Virtual Screening을 통해 新소재를 제시하고 구조/열 유동 해석을 통한 적합한 공정 조건을 예측/제안
- 전자 재료/화학 소재의 물성과 디스플레이 광특성, 제품 및 설비의 응력과 변형을 분석하고 공정 조건을 예측 및 제시
- Responsibilities
-
- 소재 설계/합성
- 극판 개발
- 품질 분석시스템 관제/고도화
- 합성법/정제법 최적화
- 순도 분석 및 개선
- 물성 평가
- Requirements
-
- 화학/화공, 재료/금속, 섬유/고분자, 기계, 전기전자(HW), 수학, 물리 등 관련 전공자
- 전기 및 전자 공학 기본 원리 및 전기회로/전기화학 모델링 관련 지식 보유자
- 배터리 및 전자재료 기본 원리 및 셀/소재 개발 관련 지식 보유자
- 직무와 연관된 경험 보유자 (프로젝트, 논문, 특허, 경진대회 등)
- 관련학과
-
- 화학/화공
- 재료/금속
- 섬유/고분자
- 수학/물리
- 전기전자(H/W)
- 기계
- Q&A
- E-mail : sdi.recruit@samsung.com